Terraform 적용하는 방법 A to Z
·
Infra/IAC
(base) nayongjun@nayongjun-ui-noteubug cherrypic-iac % cd terraform/env/dev 이번에 새로운 프로젝트를 하면서 Terraform을 적용해 보았는데요, 제가 순차적으로 공부했던 순서와 Terraform CI/CD를 구축하기까지 모든 내용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미리 저의 IAC github repository를 첨부하겠습니다. 간단히 설명하고 넘어가는 부분도 많아서 중간 중간에 참고하시면 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근거가 있는 경우 레퍼런스 링크를 달아주었고 저의 주관적인 판단도 많이 있다는 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왜 테라폼을 사용하면 좋을까요?Terraform이란 클라우드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IaC)를 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AWS의 VPC에 대해서 알아보자
·
Infra/AWS
😲 VPC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깊게 설명하고자 하면 한 없이 내용이 많아질 수 있어서 .. AWS를 시작하기 전 개요를 잡기 좋을 정도로만 VPC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VPC를 이해하기에 앞서서 IP 주소에 대한 선행 지식은 꼭 숙지하시고 오시기를 권장합니다 !!IP 주소에 대한 정리  (1편 : 🔗  2편: 🔗 )📌 VPC(Virtual Private Cloud)란? VPC는 사용자의 AWS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전용 가상의 네트워크입니다. 이름의 뜻 그대로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클라우드입니다. 사용자는 자기가 원하는 대로 IP 주소 범위 선택,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및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성 등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해 VPC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의 기본 - 2. IP 주소의 종류
·
Infra/AWS
💡 저번 포스트에 이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트를 보시지 않았다면 참고해주세요 ! 🔗 📌 IP 주소의 종류IP는 공인/사설 그리고 그 안에서도 고정/유동 이렇게 구분이 되고 있습니다.✅ 공인 IP (= 외부 IP)인터넷에서 개별 기기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공인 IP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서 할당하는 고유한 IP 주소입니다. 이 주소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며, 외부에서도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안을 위해 방화벽 등의 보호 조치가 필요합니다. IP 주소는 사용자가 임의로 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국제 인터넷 주소 관리 기구(ICANN)가 국가별로 배정하고, 우리는 이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됩니다. 이렇게 ISP를 통해 부여받은 IP 주소를 공인 IP라고 합니다. ✅ ..
IP 주소의 기본 - 1. 서브넷팅, 슈퍼넷팅, CIDR
·
Infra/AWS
💡 AWS를 시작하기 전 알고 있으면 좋은 개념인 IP와 CIDR 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IP주소란?IP주소는 말 그대로 인터넷에서 특정한 장치를 식별하기 위해 만든 고유 번호입니다. (IP = 인터넷상 주소)IP주소는 IPV4와 IPv6로 두 종류가 있습니다. 먼저 IPv4 체계를 설명하겠습니다 ✅ IPv4  IPv4는 10진수 4개의 조합이며 동시에 8비트 2진수 4개의 조합입니다. 한 칸을 옥텟(Octet)이라고 부릅니다.각 옥텟은 8비트로 처리가 됩니다 이 말은 0과 1의 조합을 8개까지 사용한다는 뜻입니다.2^8 = 256입니다. 각 옥텟은 10진수 기준 0~255까지의 숫자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그럼 총 몇 개의 IP주소를 사용할 수 있을까요?2진수 기준2^32 = 4,294,9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