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key 프로젝트 회고
·
ETC
📌 프로젝트 개요 Scope : 2024.12 ~ 2025.02 (약 3달)Team : PM(1) , Design(2), Front(4), Backend(4)⚡ Frontend 기술 스택 ( Github Repository : 🔗)언어: Swift 프레임워크: UIKit 레이아웃: SnapKit, Then 네트워크: Moya 이미지 캐싱: Kingfisher 온보딩 & 스플래시 애니메이션: Lottie ⚡ Backend 기술 스택 (Github Repository : 🔗)언어 & 프레임워크: Java, Spring Boot 데이터베이스: MySQL, JPA 검색: Elasticsearch 알림: FCM (Firebase Cloud Messaging) 인증 및 보안: 카카오 & 애플 로그인, JWT,..
배포의 모든 것 - 4. 도메인 연결과 HTTPS 적용하기
·
프로젝트
🥳 현재 자동으로 EC2로 배포가 되도록 간단히..? CI/CD를 설정해 두었습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도메인을 구입하고 ip가 아니라 도메인 주소로 배포된 서버로 접속할 수 있도록 연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의 public IP로 접속을 해봅시다. 다음과 같이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다고 출력이 나올 것입니다. 💡 왜일까요? Public IP를 그냥 그대로 검색을 하게 되면 Http 요청으로 EC2의 80 포트로 들어오게 됩니다. 하지만, 저희의 Spring Application은 8080 포트에서 돌아가고 있습니다.따라서, 80 포트로 요청이 들어오게 돼도 8080 포트로 요청을 넘겨줄 수 있는 웹 서버가 없기 때문입니다.그렇다면 8080으로 직접 접속하면 접속이 되겠군요? -> 맞습니다.실습을 ..
CI/CD 도구 - 1.Github Action
·
Server
🤔 개발자라면 꼭 마주하게 되는 CI/CD 과정 어떤 도구를 활용하는 것이 좋을까요?JetBrains에서 조사한 통계를 알아보겠습니다. ❗ 매년 조금씩 바뀌지만, GitHub Action과 Jenkins는 항상 상위권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두 가지 CI/CD 방법에 대해서 다뤄볼 생각입니다. 우선 두 가지 CI/CD 도구가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비교해 보겠습니다.다음과 같은 차이점들이 있는데 결과적으로는 Jenkins는 초기 세팅이 Github Action보다는 조금 더 복잡하지만 확장성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Github Action은 사용하기 조금 더 쉽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CD 작업에서 Github Action을 사용하게 된다면 여러 서버들을 pub..
배포의 모든 것 - 3. Github Action을 통한 CI/CD
·
프로젝트
현재 AWS 서버는 EC2와 RDS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깃허브 액션을 통해서 CI/CD 파이프 라인 구축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깃 플로우(Git-Flow)우선 깃 플로우라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master(main) : 실제 배포가 되서 운영되는 브랜치💠 hotfix : 버그가 생긴 경우 💠 release : develop에서 충분히 검증이 된 코드 , 배포를 앞두고 있는 코드.💠 develop: 개발된 기능이 모이는 브랜치.💠 feature: 기능 하나와 관련된 브랜치. 보통 포로젝트를 하는 경우 완전히 똑같지는 않더라도 위와 같은 브랜치 전략에 따라서 개발을 하게 됩니다!아마 프로젝트를 진행하시는 경우, develop 브랜치에 코드를 모아놓고 테스트를 하게 ..
배포의 모든 것 - 2. RDS와 Session Manager
·
프로젝트
저번 포스트에서는 AWS계정을 만들고 EC2 서버를 띄워봤는데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RDS로 DB를 띄우고 Private VPC를 접속하는 것까지 해보겠습니다.✅ 바뀐 AWS 과금 정책우선 저번 1편에 EC2 서버를 만들어두고 잠시 프로젝트에 전념하고 있었는데요...분명 EC2 밖에 만들지 않았고 특별히 돈이 나갈 부분이 없는데 돈이 나가고 있더라고요..? 알고 보니 AWS 과금 정책이 2024년 2월에 바뀌게 되어서 IPv4 주소를 사용하는 경우 요금이 추가적으로 부과되고 있었습니다.그냥 EC2의 IPv4 주소를 사용하는 것은 상관없었지만,  탄력적 IP를 사용하게 되면 돈이 나가도록 바뀌었다고 하네요... 이에 따라서 탄력적 IP를 해제해야겠습니다.. 1편의 내용을 업데이트해놨기 때문에 저만 해제해..
AWS의 VPC에 대해서 알아보자
·
AWS
😲 VPC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깊게 설명하고자 하면 한 없이 내용이 많아질 수 있어서 .. AWS를 시작하기 전 개요를 잡기 좋을 정도로만 VPC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VPC를 이해하기에 앞서서 IP 주소에 대한 선행 지식은 꼭 숙지하시고 오시기를 권장합니다 !!IP 주소에 대한 정리  (1편 : 🔗  2편: 🔗 )📌 VPC(Virtual Private Cloud)란? VPC는 사용자의 AWS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전용 가상의 네트워크입니다. 이름의 뜻 그대로 개인이 사용할 수 있는 가상의 클라우드입니다. 사용자는 자기가 원하는 대로 IP 주소 범위 선택,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및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구성 등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해 VPC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