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스텀 상태 코드(Custom Error Code)
·
프로젝트
🤔 왜 커스텀 상태 코드를 사용해야 할까?가장 쉬운 예로 400번대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404 Not Found: 요청한 리소스가 없음예를 위의 404 에러는 표준 http 에러 상태 코드인데요 표준으로 쓰이는 만큼 굉장히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상황에 모두 적용할 수 있게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요청한 리소스가 없는 모든 경우에 404를 적용하게 되면 구체적이지 못하기 때문에 불편해지게 됩니다. 따라서, 프로젝트를 진행함에 있어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커스텀 에러를 설정하고 약속을 정해두면 조금 더 쉽게 상태 코드를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예를 들어, 멤버를 찾을 수 없는 경우 MEMBER-4001를 사용하도록 약속했다고 생각해 봅시다. 직관적으로 Member..
HTTP 응답 코드 : 2XX Success
·
Server
📌  2XX Success✅ 200 OK상태는 코드 요청이 성공했음을 나타낸다. 200의 응답에서는 요청 메서드에 따라서 전달되는 내용이 다르다.Get : 리소스를 가져왔고 메시지 바디에서 리소스를 확인할 수 있다.응답:HTTP/1.1 200 OKContent-Type: application/json{    "id": 123,    "name": "John Doe",    "email": "john@example.com"}Post: 동작의 상태 또는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Get과 응답 형태는 동일하지만 요청이 다름.)응답: HTTP/1.1 200 OK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id": 124,      "name": "Jane Doe",      "..
[DB] 데이터베이스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
·
DB
🤔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에 앞서서 어떤 DB를 사용해야 하는지 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각 DB는 어떤 특징을 가지게 되며 어떤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자.1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elational Database)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는 보통 데이터 베이스를 떠올리게 되면 가장 먼저 떠올릴 만큼 많이 사용되며,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종류도 정말 다양하게 많이 존재한다. 관계형 DB는 다음과 같은 테이블의 형태로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한다. 각 테이블의 행과 행이 연결되는 관계를 맺고, 테이블 간의 관계는 일 대 일(1:1), 일 대 다(1:N), 다 대 다(N:N) 의 관계가 있다.  📌 관계형 DB의 특징1. SQL 이라는 쿼리 언어를 사용한다. 2. 정규화정규화는 사진과 같이 중복이 되는 것들..